까뮤의 시지프 신화

2017. 7. 23. 18:21카테고리 없음























통영 연대도와 만자도를 잇는 출렁다리



이정순그림 "노래하는 새- 인순이"


오래된 미래를 꿈꾸는 남도화가 이정순은 한국전통 고유의 토속적이며 신화적인 전설의 소재를

강렬한 색채와 신비한 붓의 터치로 새로운 장르의 화풍에 꾸준히 도전하여 국내외 여러 미술전에 참가,

크게 호평을 받은 한국의 중진화가이다.



램브란트그림 "밧세바"


빛의 마술사, 빛과 어둠의 화가로 불리는 렘브란트 네덜란드의 최고 화가로 예술의 황금시대를 열었으며,
서양 미술사상 17세기의 가장 위대한 화가로 꼽힌다. 그는 특히 초상화에 인물의 개성과 심리를 담아내는 데
탁월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 다윗이 탐한 성경속의 여인 "밧세바"는 솔로몬왕을 낳았다.

명화 "밧세바"는 풍만하면서도 품위있는 여인의 아름다움을 그림으로 나타낸 시대를 초월한 명작품이다. 








까뮤의 시지프 신화 영역본 The Myth of Sisyphus by Albert Camus (translated by Justin O’Brien) The gods had condemned Sisyphus to ceaselessly rolling a rock to the top of a mountain, whence the stone would fall back of its own weight. They had thought with some reason that there is no more dreadful punishment than futile and hopeless labor. 신들은 시스퍼스에게 벌을 내려 그로 하여금 산꼭대기까지 바위를 밀어올려서 정상에 도달하면 바위는 그 무게로 인해 도로 아래로 굴러떨어지는 것을 끊임없이 반복하게 하였다.  무슨 이유인지 모르나 신들은 헛되고 절망적인 노고만큼 더 지독한 벌이 없으리라 생각했던 것이다.   If one believes Homer, Sisyphus was the wisest and most prudent of mortals. According to another tradition, however, he was disposed to practice the profession of highwayman. I see no contradiction in this. Opinions differ as to the reasons why he became the futile laborer of the underworld. To begin with, he is accused of a certain levity in regard to the gods. He stole their secrets. Aegina, the daughter of Aesopus, was carried off by Jupiter. The father was shocked by that disappearance and complained to Sisyphus. He, who knew of the abduction, offered to tell about it on condition that Aesopus would give water to the citadel of Corinth. To the celestial thunderbolts he preferred the benediction of water. He was punished for this in the underworld. Homer tells us also that Sisyphus had put Death in chains. Pluto could not endure the sight of his deserted, silent empire. He dispatched the god of war, who liberated Death from the hands of the conqueror. 호머의 말이 맞다면 시스퍼스는 가장 현명하고 분별있는 인간이었다.  그러나 또 하나의 구전에 의하면 그는 노상강도 노릇을 버릇삼아 했다고 한다.  내가 보기에는 이 두가지 묘사가 모순적인 것은 결코 아니다.  그가 어찌하여 저승에서 헛되게 노동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제각기 다른 의견이 있다.   우선은 그가 신들에 대한 어떤 경솔한 행동을 했다고 한다.  그가 신들의 비밀을 훔쳤다는 것이다.  애소퍼스 (아이사퍼스) 의 딸인 아기나 (이쟈이나) 는 주피터에 의해 납치되었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 행방물명에 의해 충격을 받았고 시스퍼스에게  그 사실을 늘어놓았다.  납치사건에 대해 이미 알고 있던 시스퍼스는 애소퍼스가 코린ㄸ (고린도)에 있는 성채에 물을 대어주는 것을 조건으로 그 사실을 말해주겠다고 했다.  그는 천국의 번개화살 (벼락) 보다는 물의 축복을 원했다.  그는 이로인해 저승으로 쫒겨나는 벌을 받았다.  호머는 또한 시시퍼스가 “죽음”을 쇠사슬에 묶었다고 했다.  플루토는 텅비고 고요한 그의 제국을 더 이상 지켜볼수가 없었다.  그는 전쟁의 신을 보내어 “죽음”의 정복자로 부터 “죽음”을 구해내었다. It is said also that Sisyphus, being near to death, rashly wanted to test his wife's love. He ordered her to cast his unburied body into the middle of the public square. Sisyphus woke up in the underworld. And there, annoyed by an obedience so contrary to human love, he obtained from Pluto permission to return to earth in order to chastise his wife. But when he had seen again the face of this world, enjoyed water and sun, warm stones and the sea, he no longer wanted to go back to the infernal darkness. Recalls, signs of anger, warnings were of no avail. Many years more he lived facing the curve of the gulf, the sparkling sea, and the smiles of the earth. A decree of the gods was necessary. Mercury came and seized the impudent man by the collar and, snatching him from his joys, led him forcibly back to the underworld, where his rock was ready for him. 전해진 바로는 시스퍼스가 죽음에 가까왔을때 무모하게도 부인의 사랑을 시험하고 싶었다한다.  그는 부인에게 자기의 시체를 공용광장 가운데다 버리라고 시켰다.   시스퍼스는 저승에서 깨어났다.  거기에서 시스퍼스는 인간의 사랑과는 너무도 거리가 먼 복종 (의 필요성) 에 불쾌해져서 아내를 벌하고자 플루토에게서 지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을 받는다.  하지만 다시 세상의 모습을 보고 물과 해, 따듯한 돌과 바다를 만끽하게 되자 그는 다시는 저승의 어둠속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게 되었다.  소환, 분노의 징후, 경고.  이 모든것이 아무 소용이 없었다.  그는 굽어지는 灣,  반짝이는 바다, 그리고 지상의 미소를 보면서 수년을 더 지상에서 머물게 되었다.  신들의 천명만이 그를 불러올수 있었다.  멀큐리가 지상으로 와서 오만방자한 그의 목을 잡고서 그를 환희에서 낚아채어 바위가 기다리고 있는 저승으로 강제로 끌고 갔다. You have already grasped that Sisyphus is the absurd hero. He is,as much through his passions as through his torture. His scorn of the gods, his hatred of death, and his passion for life won him that unspeakable penalty in which the whole being is exerted toward accomplishing nothing. This is the price that must be paid for the passions of this earth. Nothing is told us about Sisyphus in the underworld. Myths are made for the imagination to breathe life into them. As for this myth, one sees merely the whole effort of a body straining to raise the huge stone, to roll it and push it up a slope a hundred times over; one sees the face screwed up, the cheek tight against the stone, the shoulder bracing the clay-covered mass, the foot wedging it, the fresh start with arms outstretched, the wholly human security of two earth-clotted hands. At the very end of his long effort measured by skyless space and time without depth, the purpose is achieved. Then Sisyphus watches the stone rush down in a few moments toward that lower world whence he will have to push it up again toward the summit. He goes back down to the plain. It is during that return, that pause, that Sisyphus interests me. A face that toils so close to stones is already stone itself! I see that man going back down with a heavy yet measured step toward the torment of which he will never know the end. That hour like a breathing-space which returns as surely as his suffering, that is the hour of consciousness. At each of those moments when he leaves the heights and gradually sinks toward the lairs of the gods, he is superior to his fate. He is stronger than his rock. 우리는 이미 시스퍼스가 불합리한 영웅(주인공)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가 겪는 고뇌뿐만 아니라 그가 가진 열정이 그를 분명 영웅으로 만들어준다.  신에 대한 그의 경멸, 죽음에 대한 그의 혐오, 인생에 대한 그의 열정.  이러한것들로 인해 그는 인간적 모든 힘을 다해 분투하면서도 그 무엇도 성취하지 못하게 되는 그런 지독한 형벌을 받게 된것이다.  이것이 바로 세상을 향한 열정에 대해 치뤄야 하는 댓가이다.  시스퍼스의 저승생활에 대한 것은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았다.  신화란 상상력에 생명의 입김을 불어넣어라고 만들어진것이다.  이 신화에서 우리는 그저, 거대한 바위를 들어서 끝없이 가파른 산위로 밀어올리려고 온갖 애를 쓰는 한 육신의 분투를 보게된다;  우리는 찌그러진 얼굴, 바위에 바짝 붙은 턱, 흙투성이의 거대한 바위를 지탱하려 애쓰는 어깨,  억지로 바위에 박아 밀어넣은 발,  팔을 쭉 뻗고 다시 시작하는, 인간의 안전을 전면적으로 쥐고 있는 흙이 박힌 두 손을 본다.  창공이 없는 공간과 끝을 알수없는 시간으로 잴수밖에 없는 그의 길고긴 노고의 끝에는 목표가 달성되는 것이다.  시스퍼스는 곧 자신이 다시 꼭대기까지 밀고 올라가게 될 바위가 한순간에 저 아래 세상으로 굴러내려가는 것을 지켜본다.  그는 다시 평야로 내려간다.  바로 그 귀환,  바로 그 휴식의 시간속의 시스퍼스가 나의 관심을 산다.  바위와 그토록 가깝게 있으며 노고한 그 얼굴이 바로 바위 그 자체인것이다!  나는 그가 끝을 알수 없는 고난을 향해 무거우나 정연한 발걸음으로 걸어내려가는 것을 본다.  고통이 분명 돌아오는 것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돌아오는 그 숨돌릴수 있는 시간, 그 시간이야말로 자각의 시간이다.  그가 산꼭대기를 떠나서 신들의 굴로 천천히 내려오는 그 순간 순간마다 그는 그의 운명보다 더 우월해지는 것이다.  그가 바위보다 더 강해지는 것이다. If this myth is tragic, that is because its hero is conscious. Where would his torture be, indeed, if at every step the hope of succeeding upheld him? The workman of today works every day in his life at the same tasks, and this fate is no less absurd. But it is tragic only at the rare moments when it becomes conscious. Sisyphus, proletarian of the gods, powerless and rebellious, knows the whole extent of his wretched condition: it is what he thinks of during his descent. The lucidity that was to constitute his torture at the same time crowns his victory. There is no fate that cannot be surmounted by scorn. 이 신화가 비극이라면 그것은 주인공이 자신의 처지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성공에 대한 희망이 그의 한 발자욱 두 발자욱을 지탱시켰다면 그가 고통을 어찌 알았을까?  오늘날의 노동자도 삶의 매일 매일을 같은 일을 반복하는데, 이러한 운명이 시스퍼스의 운명보다 덜 불합리적인것이라 할수가 없다.  허나 자신이 처한 현실을 의식하게되는 드문 순간에만 이 모든것이 비극적이 되는 것이다.  신들의 프롤러테리아 (최하층민), 무기력하고 반항적인 시스퍼스는 그의 비참한 현실을 너무도 잘 알고 있으며, 그가 산을 내려오면서 생각하는 것이 바로 그 현실이다.  그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그 통찰력 자체가 또한 그에게 승리의 관을 씌워주는 것이다.  경멸에 굴복하지 않는 운명은 없다.       ................................................................................... If the descent is thus sometimes performed in sorrow, it can also take place in joy. This word is not too much. Again I fancy Sisyphus returning toward his rock, and th sorrow was in the beginning. When the images of earth cling too tightly to memory, when the call of happiness becomes too insistent, it happens that melancholy rises in man's heart: this is the rock's victory, this is the rock itself. The boundless grief is too heavy to bear. These are our nights of Gethsemane. But crushing truths perish from being acknowledged. Thus, Oedipus at the outset obeys fate without knowing it. But from the moment he knows, his tragedy begins. Yet at the same time, blind and desperate, he realizes that the only bond linking him to the world is the cool hand of a girl. Then a tremendous remark rings out: "Despite so many ordeals, my advanced age and the nobility of my soul make me conclude that all is well." Sophocles' Oedipus, like Dostoevsky's Kirilov, thus gives the recipe for the absurd victory. Ancient wisdom confirms modern heroism. 그래서 때때로 하산할때 비탄함이 따른다 해도, 행복 또한 함께 할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나친 말이 아니다.  다시 나는 바위쪽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시스퍼스를 생각해보며 시작할때 그를 둘러쌌던 비탄함을 생각한다.  세상의 모습들이 너무 깊이 기억속에 남아있으면, 행복을 갈구하는 소리가 지나치게 집요하면, 인간의 가슴속에는 구슬픔이 우러나게 마련이다.  이는 바위의 승리요, 바위 그 자체인것이다.  멈출줄 모르는 슬픔을 견디기는 너무 힘든것이다.  이것이 우리에겐 겟세머니의 밤이다.  허나 압도적인 (가눌길없는) 진실은 인정되면서 소멸하게 된다.  그래서 에디퍼스는 처음부터 무의식적으로 운명에 복종했다.  하지만 인식하게 된 그 순간부터 비극은 시작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눈이 멀고  자포자기한 그가 자신과 세상을 이어주는 유일한 끈은 싸늘한 (이성적인) 여인의 손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그러고는  엄청한 (멋진) 한마디 말을 내 뱉는다: ”그토록 많은 고난에도 불구하고, 이 나이가 되어  고결한 (깨끗한) 정신으로 보니 모든것이 다 괜찮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그래서 싸퍼클리즈의 에디퍼스는 도스토엪스키의 키릴러브 처럼 부조리가 승리할수 있는 법을 가르쳐준다.  고대의 지혜가 현대의 영웅정신을 확인해주는 것이다. one does not discover the absurd without attempting to write a manual of happiness. "What! by such narrow ways--?" There is but one world, however. Happiness and the absurd are two sons of the same earth. They are inseparable. It would be a mistake to say that happiness necessarily springs from the absurd discovery. It happens as well that the feeling of the absurd springs from happiness. "I conclude that all is well," says Oedipus, and that remark is sacred. It echoes in the wild and limited universe of man. It teaches that all is not, has not been, exhausted. It drives out of this world a god who had come into it with dissatisfaction and a preference for futile sufferings. It makes of fate a human matter, which must be settled among men. 우리는 행복의 설명서를 써보지 않고는 불합리(부조리함)을 발견하지 못한다.  “뭐! 그토록 힘들다는 건가?”  하지만 세상은 하나뿐이다.  행복과 부조리는 한 땅의 자식들이다.  이들은 떼어놓을수가 없는 것이다.  행복이 꼭 부조리를  발견함에 의해 비롯되는 것이라는 것은 오산이다.  행복으로 인해 부조리한 기분이 생기기도 하기 때문이다.  “모든것이 괜찮다는 결론을 내린다” 라고 에디프스은 말했고 이는 신성한 선언이다.  이말은 자연과 제한된 인간의 우주에 메아리친다.  이는 모든것이 다 소모된적이 없고 소모되지 않았다는 것을 가르친다.  이는 이세상에서 불만과 허망한 고통을 좋아하는 신을 내쫒는다.  운명이란 것을 인간의 문제로 만들고 인간들끼리 해결해야하는 문제로 삼는다. All Sisyphus' silent joy is contained therein. His fate belongs to him. His rock is his thing. Likewise, the absurd man, when he contemplates his torment, silences all the idols. In the universe suddenly restored to silence, the myriad wondering little voices of the earth rise up. Unconscious, secret calls, invitations from all the faces, they are the necessary reverse and price of victory. there is no sun without shadow, and it is essential to know the night. The absurd man says yes and his effort will henceforth be unceasing. If there is a personal fate, there is no higher destiny, or at least there is but one which he concludes is inevitable and despicable. For the rest, he knows himself to be the master of his days. At that subtle moment when man glances backward over his life, Sisyphus returning toward his rock, in that silent pivoting he contemplates that series of unrelated actions which becomes his fate, created by him, combined under his memory's eye and soon sealed by his death. Thus, convinced of the wholly human origin of all that is human, a blind man eager to see who knows that the night has no end, he is still on the go. The rock is still rolling. 모든 시스퍼스의 평안한 행복이 이 속에 존재한다.  그의 운명은 그의 것이다.  그의 바위는 그의 물건이다.  마찬가지로, 고통을 숙고하고 있을때의 불합리한 인간은 모든 우상을 잠재운다.  갑자기 고요해진 우주에서는  지상의 무수한 신비의 작은 목소리가 우러 나온다.  무의식, 비밀의 호출, 모든 것들의 자극 (유혹), 이들이 승리의 역전이며 댓가이다.  그림자없이는 해가 있을수 없으며 밤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결한 것이다.  부조리한 사람은 네 하고 말하고 앞으로의 끝없는 노력을 할것이다.  개인적인 운명이 있다면 그 보다 더 고결한 운명은 없는 것이다.  있다면 그것은 적어도 인간이 스스로 필연적이고 비열하다고 판정내리는 운명뿐인것이다.  그 나머지에 대해서는 인간이 지기 스스로가 주관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자신의 생을 돌아보는 그 미묘한 순간, 시스퍼스가 그의 바위를 향해서 돌아가는 그 순간, 그 고요한 회전의 순간에 그는 전혀 그 순간의 현실과는  관계없는 여러 일에 대하여 생각한다.  그 일들이 바로, 그가 스스로 창조하며 그의 기억의 눈으로 빚어졌고 곧 그의 죽음으로 끝나게 될 그 자신의 운명이 될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모든것의 근원은 인간 자체란 것을 믿는 한 장인은 어두움에는 끝이 없다는 것을 아는 누군가를 만나게 되길 애타게 기다리며 아직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바위는 여전히 굴러내려가고 있다. I leave Sisyphus at the foot of the mountain! one always finds one's burden again. But Sisyphus teaches the higher fidelity that negates the gods and raises rocks. He too concludes that all is well. This universe henceforth without a master seems to him neither sterile nor futile. Each atom of that stone, each mineral flake of that night-filled mountain, in itself forms a world. The struggle itself toward the heights is enough to fill a man's heart. one must imagine Sisyphus happy. 난 산기슭에 있는 시스퍼스를 그려본다.  인간에게는 언제나 또 다른 걱정이 생기게 마련이다.  하지만  시스퍼스는 신을 무로 돌리게하는 한층 높은 충절을 가르치면서 바위를 밀어올린다.  그 또한 모든것이 다 괜찮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제부터는 창조자가 없는 이 우주는 메마르지도 허무하지도 않은듯하다.  그 바위를 구성하고 있는 하나 하나의 원자, 어두움이 드리워진 그 산을 구성하는 광석 부스러기 하나하나가 바로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목표를 향해 전진하는 노력자체만으로도 인간의 가슴을 채울수가 있다.  그러니 시스퍼스가 행복하다 생각하는 것이 옳은것이다.